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Tags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Trivia

1강.C언어 기초(1) 본문

C언어/C프로그래밍 기초(1학기)

1강.C언어 기초(1)

Vloom 2019. 1. 11. 23:31

1.1 함수


▶함수: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의 집합


▶main() 함수: C프로그램에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함수


▶함수의 구성요소


함수는 여러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짐

문장은 순차적으로 실행됨

문장은 ;(세미콜론)으로 끝나야 함

return 문장: 함수를 종료하는 문장


int main()  함수 이름

{    함수 시작       

printf("Hello World!");   함수 몸체 


return 0;       

}    함수 끝


▶주석(comment):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


첫번째 방법의 주석

/* 작성자: 홍길동

작성날짜: 2019년 01월 11일

작성목적:컴파일러 테스트

*/


두번째 방법의 주석

//이 줄은 전체가 주석이다

printf("Hello World!");  //문자열을 화면으로 출력


▶출력 함수 printf(): printf()는 큰따옴표 안의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


▶줄바꿈 문자 \n: 화면에서 커서를 다음줄로 이동시킴


ex) 예제 프로그램: 구구단 출력 프로그램

//구구단 출력 프로그램


#include <stdio.h>


int main()

{

printf("3 X 1 = 3\n");

printf("3 X 2 = 6\n");

printf("3 X 3 = 9\n");;


return 0;

}


1.2 변수


▶변수: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메모리 공간


▶변수의 종류: 변수에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타입이 존재


▶변수 선언: 컴파일러에게 어떤 타입의 변수가 사용되는지를 미리 알리는 것


    Γ변수의 이름

int x;

자료형


int x;    //첫번째 정수를 저장하는 변수

int y;    //두번째 정수를 저장하는 변수

int sum; //두 정수의 합을 저장하는 변수


▶자료형(data type): 변수가 저장할 데이터가 정수인지 실수인지, 아니면 또 다른 어떤 데이터인지를 

 지정하는 것


정수형: short, int, long long

부동소수점형: float, double, long double

문자형: char


1.3 연산


▶대입 연산(할당 연산자):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연산


x=100;

y=200;


▶산술 연산


연산 

연산자 

C 수식 

덧셈

+ 

x + y 

 뺄셈 

- 

x - y 

 곱셈 

* 

x * y 

 나눗셈 

/ 

x / y 

 나머지 

% 

x % y 


sum = x + y;


1.4 printf()


▶printf() 사용하기


printf(형식지정자, 변수);


printf("%d", sum);


▶printf()의 형식


 형식 지정자

 의미

형태 

%d 

정수 형태로 출력 

100 

%f, %lf 

실수 형태로 출력 

3.141592 

%c 

문자 형태로 출력 

A 

%s 

문자열 형태로 출력 

Hello 


▶printf()의 출력 과정


sum = 300;

printf("두수의 합 = %d", sum);


두수의 합 = 300


'C언어 > C프로그래밍 기초(1학기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6강.반복문  (0) 2019.01.25
5강.조건문  (0) 2019.01.23
4강.수식과 연산자  (0) 2019.01.15
3강.변수와 자료형  (0) 2019.01.14
2강.C언어 기초(2)  (0) 2019.01.14